본문 바로가기
건강

노년층에게 적용한 비만의 역설의 진실

by 히빵슨 2025. 8. 12.
반응형


비만의 역설(Obesity Paradox)이란?

전통적으로 비만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여겨져 왔습니다. 즉,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합병증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죠.

 

여기서 BMI(체질량수, Body Mass Index)는 개인의 체중과 키를 활용해 체지방 정도를 추정하는 간편한 지표로,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그러나 일부 연구들에서는, 심혈관질환이나 만성질환을 이미 가진 환자군에서 오히려 ‘과체중’ 또는 ‘경도 비만’에 속하는 사람들이 정상체중 혹은 저체중인 환자들보다 생존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 역설적 현상이 보고되었습니다. 이 현상을 바로 ‘비만의 역설’이라 부릅니다.

하지만 노년층에서의 비만은 과연 건강에 더 이로울까요?


노년층에서의 비만

결론적으로 노년층에서의 비만은 노년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바로 관절과 척추 건강 때문입니다.
관절과 척추는 체중 1kg이 증가할 때 기존 대비 약 3kg~5kg의 하중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노년층에서의 비만은 일부 내과 질환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관절과 척추에는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노년 건강의 해법은?

정답은 근육량에 있습니다. 같은 체질량지수(BMI)의 조건이라도 근육량이 더 많은 노년들이 관절과 척추 건강이 더 좋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근육량보다 체지방량이 더 많은 사람은 염증 반응이 커지고, 관절과 척추의 손상 위험도도 증가합니다.  반면에 근육량이 더 많은 사람은 그만큼 관절과 척추를 지탱할 수 있는 힘이 있기에 체중이 주는 하중을 근육으로 버텨낼 수 있는 것이죠.


근육량을 늘리려면?

노년층에게서의 근육량 증가는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간단히 지킬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예컨대 단백질 섭취, 가벼운 웨이트, 일상적인 걷기운동이 있습니다. 식사에 단백질(고기, 계란, 콩 등)을 필수적으로 포함시켜 섭취하고 가능한 자주 가벼운 걷기 또는 맨몸운동(스쿼트 등)을 주기적으로 하면 노년 건강에 이로운 근육을 기를 수 있습니다. 


결론

비만의 역설은 어쩌면 내과적 관점에서 나온 의견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객관적 다수 연구가 보여주듯, 특정 만성질환 환자군에서는 경도 비만이 생존율과 연관성이 있지만, 동시에 BMI가 건강의 절대 지표가 아니라는 것이지요. 

 

따라서 단순히 ‘체중 증가’ 또는 '체중 감소'만을 강조하기보다는, 개개인의 올바른 체성분(근육량, 체지방량의 조화), 영양 상태, 염증 지표, 질환 진행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맞춤형 접근법이 더 옳은 방법이라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 링크 버튼a */ 대체텍스트 /* 링크 버튼a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