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히히정보통

2026 정부 예산안, 대중교통 정액패스(K패스, 기후동행카드 비교 등)

by 히빵슨 2025. 9. 2.
반응형

대중교통 정액패스
대중교통 정액패스

 

정부가 발표한 2026년 예산안에는 ‘대중교통 정액패스’가 포함됐습니다. 이 대중교통 정액패스를 통해 우리는 월 5~6만원으로 최대 20만 원까지 교통비를 사용할 수 있어, 기존 교통비 부담이 큰 시민들에게 상당한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1. 대중교통 정액패스란?

2026년 새로 시행 예정인 교통 복지 제도로 대중교통 월 5만~6만 원만 내면 지하철과 버스를 무제한에 가깝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패스권입니다. 

 

이 패스를 통해 월 최대 20만 원까지 교통비를 사용할 수 있어, 기존 교통비 부담이 큰 시민들에게 상당한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2. 대중교통 정액패스 이용 요금 및 대상별 혜택

대중교통 정액패스 요금은 크게 일반형과 확장형으로 나뉩니다.

1) 일반형
- 청년·어르신·저소득층·다자녀 가구 : 월 55,000원
- 일반 국민 : 월 62,000원

2) 확장형(GTX·광역버스 포함)
- 취약계층 : 월 90,000원
- 일반 국민 : 월 100,000원

서울이나 수도권처럼 장거리 출퇴근이 많은 지역에서는 확장형 정액패스를 선택하면 더 큰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3. K-패스와 대중교통 정액패스 비교

현재 운영 중인 K-패스는 매달 일정 횟수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사용 금액의 일부를 다음 달에 환급해주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청년층은 이용 금액의 30%를 환급받을 수 있고, 다자녀 3인 이상 가구는 최대 50%까지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K-패스는 ‘이용 후 환급’ 방식이기 때문에, 당장 교통비 부담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매달 선결제가 필요한 시민이나, 장거리 출퇴근 등 교통비 지출이 많은 사람에게는 즉각적인 절감 효과가 크지 않았던 것이죠.

반면, 2026년 도입 예정인 대중교통 정액패스는 선결제 후 무제한 이용이 가능해, 추가 비용 부담 없이 자유롭게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하철 기본요금을 기준으로 한 달 60회, 약 93,000원을 이용한다고 가정해보면 K-패스를 이용 시 환급 후 실제 부담 금액은 약 74,400원이지만, 정액패스를 선택하면 단 62,000원으로 같은 교통 이용이 가능해 한 달 교통비를 약 12,000원 이상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기후동행카드와 대중교통 정액패스 비교

두 제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1) 가격 : 일반권 기준 6만 2천 원으로 동일
2) 이용 가능 범위 :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 전역, 정액패스는 전국 지하철·버스 (GTX 포함 시 요금 상승)
3) 무제한 여부 : 기후동행카드는 무제한, 정액패스는 월 20만 원까지만 무료(초과 이용 시 추가 요금 발생)
4) 우대 혜택 : 기후동행카드, 대중교통 정액패스 별 청소년, 다자녀, 저소득층 등 대상 맞춤 혜택 제공

즉, 서울 거주 시민이라면 기후동행카드가 즉시 혜택이 크고, 전국 단위로 이동이 많은 이용자라면 정액패스가 적합합니다.

 

기후동행카드와 대중교통 정액패스 비교
기후동행카드와 대중교통 정액패스 비교


5. 정액패스, 누가 가장 혜택을 볼까?

첫째, 매일 출퇴근으로 지하철과 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직장인입니다. 출퇴근 거리가 길고 하루 이용 횟수가 많을수록 정액패스의 혜택이 더욱 커집니다. 특히 GTX나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장거리 출퇴근자라면, 월 9만~10만 원 정액제를 활용해 교통비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대학생이나 취업 준비생 등 청년층 역시 유리합니다. 이들은 월 55,000원으로 지하철과 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매달 교통비를 확실히 절감할 수 있습니다.

셋째, 어르신과 다자녀 가구도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기존 K-패스 대비 환급률과 우대 요금이 강화되어, 생활비 절감 효과가 더욱 큽니다.

결론적으로, 매일 GTX 및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장거리 출퇴근 직장인이 가장 큰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대중교통 정액패스는 청년, 어르신, 다자녀 가구 등 모든 국민에게 적용되므로, 누구든 자신의 이동 패턴에 맞게 활용하면 상당한 교통비 절약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립밤 안 잃어버리는 법 꿀팁 대공개(사무용품 이용하기)

"어? 립밤 어디 갔지?", 내가 산 립밤들은 왜 여차하면 사라질까요? 이 글에서는 립밤 안 잃어버리고 끝까지 쓰는 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장소마다 립밤을 비치하기사무실에 하나, 거실

blogday.co.kr

 

 

 

2025년 2차 민생지원금 (신청 방법과 지급 대상, 지급 금액, 사용처 등 총정리)

2025년 9월,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함께 추진하는 2차 민생지원금 지급이 확정되었습니다. 고액 자산가 배제 기준 신설, 사용처 확대, 군 장병 맞춤 지원 등 1차 민생지원금과 달라진 점이 있어

blogday.co.kr

 

 

반응형

/* 링크 버튼a */ 대체텍스트 /* 링크 버튼a 끝 */